수면장애에 대하여

logo

잠을 잘 자지 못하는 노인은 정상적인 수면을취하는 노인들에 비해 사망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될 만큼 잠은 인간에게 매우 중요하며 쾌식, 쾌변과 함께 쾌면은 장수의 3대 비결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면 신체와 정신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지만 아직도 수면장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밤마다 고통스러워 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수면장애는 크게 아래와 같이 나누어 치료할 수 있습니다.
못잔다 (불면증)

불면의 원인을 알아내고, 그 대책을 알아내기 위해 일상 생활의 스트레스, 버릇, 주위 환경 등과 잠 자체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중요합니다. 또한 수면의 구조를 알아보고, 수면 중 일어나는 여러 사건 (뇌파, 호흡, 맥박, 근육긴장, 눈움직임, 행동, 산소 분화도 등)을 다각적으로 기록하는 다원수면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너무 잔다 (기면증)

기면증은 밤에 잠을 충분히 잤음에도 불구하고 자면 안되는 상황, 예를 들어 운전 중이나 다름 사람과의 대화 중에 지나치게 졸음이 오고, 잠에 빠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기면증의 치료에는 약물치료와 행동 요법이 있습니다.

잠과 관련된 이상 행동들

1) 하지 불안 증후군
잠을 자려고 누워 있으면 다리가 조이고, 누군가가 간지럽히는 것처럼 스물스물하게 간지러운 느낌이 들며, 이는 결국 불면증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2) 주기적 사지운동증
수면 중에 다리가 30초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움직이는데 이러한 움직임이 하룻밤에 수십 회에서 수백 회 발생하므로 잠 들기가 어렵고 수면을 하지 못합니다.

3) 렘수면장애
렘수면은 꿈꾸는 수면 단계를 말한다. 렘수면 중에는 호흡하는 근육을 제외하고는 모든 근육이 마비된다. 이러한 마비 현상이 불완전하거나 없는 경우를 렘수면장애라 합니다.

4) 몽유병
몽유병은 어린나이에 주로발생하는데 자다가 일어나서 방을 왔다갔다하거나 집안의 가구를 옮기거나 밖으로 나가서 배회하기도 합니다. 깨어나서는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기억하지 못하며 대부분 나이가 들면 좋아지지만 심해질 경우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5) 악몽, 야경증
밤에 소스라치게 놀라 잠에서 깨어 우는 아이를 종종 보게 됩니다. 꿈을기억하면 악몽이고, 꿈을 기억하지 못하면 야경증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청소년기에 접어들면 없어집니다.

 

광고


워드프레스닷컴에서 웹사이트 또는 블로그 만들기